
충북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청주시청 임시청사 안에서 장애인 이동권을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 임성민기자 [충북일보]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와 충북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30일 청주시청 임시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청주시와 충북도는
장애인 이동권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충북지역은 장애인 이동권 꼴찌라는 수식어를 아직도 떼지 못하고 있다"며 "특별교통수단의 도내 광역이동이 아직 걸음마도 떼지 못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충북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청주시청 관계자들에게 요구안을 전달하기 위해 임시청사 안으로 들어와 이동하고 있다.
ⓒ 임성민기자그러면서 "도청 소재지로 가장 많은 인구가 살고 있다"며 "다른 시·군의 모범이 돼야 할 청주도 마찬가지"라고 비판했다.
또 "도내에선 저상버스가 운행되고 있기는 하지만 저상버스와 계단버스의 혼합배차로 인해 저상버스가 언제 올지 예측이 불가하다"며 "외곽
지역의 경우는 저상버스 예외노선 선정"이라고 꼬집었다.

충북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청주시청 관계자들을 만나 요구안을 전달하고 있다.
ⓒ 임성민기자이들은 "제대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특별교통수단인 해피콜뿐"이라며 "이마저도 법정 대수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고 차량 1대에 운전원 1명이
배치되는 상태로는 원활한 운영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별교통수단 차량 1대당 일일 운행시간 16시간을 보장하고 바우처 택시를 통한 휠체어 이용자 대기시간 감소와 발달장애인
이동권을 보장하라"며 "저상버스 예외노선 심사 시 관련 단체 참여 보장과 대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와 충북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30일 오후 충북도청 본관입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촉구하고 있다.
ⓒ 김용수기자이들은 기자회견을 마치고 시 복지국, 대중교통과 관계자들을 만나 요구안을 전달한 뒤 청주대교, 상당길, 육거리시장 등 시내 곳곳을 행진했다.
앞서 이들은 지난달 20일 충북도청 앞에서 "장애인 특별교통수단인 해피콜 차량은 60대로 법정대수 73.2%에 불과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전장연은 이동권 보장을 요구하며 지난 18일부터 광주를 시작으로 전국순회투쟁을 이어가고 있다. 오는 31일에는 옥천에서 집회를 열 계획이다.
/ 임성민기자